19권(2009) | [19권 4호]안재섭, 서울시 거주 중국 조선족의 사회·공간적 연결망: 기술적 분석을 중심으로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11-01-27 13:18 조회2,539회 댓글0건첨부파일
- 19_4_17.PDF (475.3K) 51회 다운로드 DATE : 2011-02-13 20:01:28
본문
요 약 :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조선족 집단 거주 지역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로컬리티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시도
로서 서울시 가리봉동 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사회적·공간적 연결망을 기술적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. 사회
적 연결망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비유에서 방법으로, 다시 방법에서 사회 및 공간에 대한 이론으로 발전해 가고
있다. 연결망은 분석적으로 개별 행위자나 조직과 같은 결절과 결절 사이의 연결로 구성되는데, 조선족 사회의
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개념으로서 의미가 있다. 관계와 상징의 연결망은 한 사회 내에서 변화를 가져오는 사
회적 기제이면서 동시에 한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단위가 된다. 사회 기제로서의 관계와 상징의 연결망은 행위-
구조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, 중간 수준의 사회 구성단위로서의 연결망은 미시-거시의 문제를 해결해 준다. 가리
봉동이 조선족의 집단적 거주지로서 발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요인은 이주 연결망이다. 조선족들이 연쇄적
으로 우리나라에 이주하면서 초기 이주자와 후속 이주자, 중국에 남아 있는 비이주자들 간에는 한국의 이주에 관
한 여러 정보를 교환하는 이주 연결망이 형성되었다. 이주 연결망은 가족과 친척, 친구, 동향 사람을 통해 연결되
는 것이 일반적인데, 이는 이주의 비용과 위험을 감소시켜 순이익을 증대시켜 주기 때문에 이주자 간의 이주 가
능성을 높여주는 특징을 가진다. 노동시장에서의 공간적 연결망은 사적인 측면에서 비공식적 부분의 연결망으로
연계되어 나타나고 있다.
주요어 : 중국 조선족, 가리봉동, 사회적 연결망, 공간적 연결망, 이주 연결망
로서 서울시 가리봉동 지역에 거주하는 조선족의 사회적·공간적 연결망을 기술적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. 사회
적 연결망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비유에서 방법으로, 다시 방법에서 사회 및 공간에 대한 이론으로 발전해 가고
있다. 연결망은 분석적으로 개별 행위자나 조직과 같은 결절과 결절 사이의 연결로 구성되는데, 조선족 사회의
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개념으로서 의미가 있다. 관계와 상징의 연결망은 한 사회 내에서 변화를 가져오는 사
회적 기제이면서 동시에 한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단위가 된다. 사회 기제로서의 관계와 상징의 연결망은 행위-
구조의 문제를 해결해 주고, 중간 수준의 사회 구성단위로서의 연결망은 미시-거시의 문제를 해결해 준다. 가리
봉동이 조선족의 집단적 거주지로서 발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요인은 이주 연결망이다. 조선족들이 연쇄적
으로 우리나라에 이주하면서 초기 이주자와 후속 이주자, 중국에 남아 있는 비이주자들 간에는 한국의 이주에 관
한 여러 정보를 교환하는 이주 연결망이 형성되었다. 이주 연결망은 가족과 친척, 친구, 동향 사람을 통해 연결되
는 것이 일반적인데, 이는 이주의 비용과 위험을 감소시켜 순이익을 증대시켜 주기 때문에 이주자 간의 이주 가
능성을 높여주는 특징을 가진다. 노동시장에서의 공간적 연결망은 사적인 측면에서 비공식적 부분의 연결망으로
연계되어 나타나고 있다.
주요어 : 중국 조선족, 가리봉동, 사회적 연결망, 공간적 연결망, 이주 연결망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